삼각산 화계사


참선수행과 국제포교의 중심 사찰

삼각산 화계사

화계사이야기

삼각산 화계사

2000
  • 2020년 1월 16일
    대웅전, 명부전 후불탱화 중수개채
  • 2019년 8월 7일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석축보수사업
  • 2019년 7월
    대방(보화루) 목창호 교체
  • 2019년 4월
    불화 일괄 보존처리
  • 2019년 3월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보존처리
  • 2019년 3월 31일
    대웅전 해체보수 원만회향
  • 2018년 12월 7일
    미륵존불 낙성. 점안법회
  • 2018년 9월
    대적광전 앞 방수공사
  • 2018년
    보물 제1822호 주변 석축 긴급보수 공사(설계비)
  • 2018년
    목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보존처리공사
  • 2018년 7월
    대웅전 해체보수공사 시작
  • 2018년
    아미타후불도, 명부전 후불탱화 보존처리
  • 2018년 3월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보존처리 공사
  • 2018년 4월 16일
    관세음보살 점안법회
  • 2018년 3월 17일
    국제선원(템플스테이) 낙성식
  • 2018년 2월 27일
    국제선원 준공
  • 2017년 12월 3일
    미륵존불 복장물 점안법회
  • 2017년 10월
    미륵존불 조성 기초공사
  • 2017년 9월
    염불과 기도 개강
  • 2017년 6월 9일
    대적광전 등기완료
  • 2017년 3월
    경전반 강의시간 조정(2시간 → 3시간)
  • 2017년 2월
    국제선원 철거 및 개축
  • 2016년 10월 7일
    금요참선반 개강
  • 2016년 9월 9일
    ~13일
    대웅전 계단 옆 휠체어 경사로
  • 2016년 6월 5일
    미륵존불 조성을 위한 불사시작
  • 2016년 8월 4일
    화계사 소장유물 8건의 서울시 문화재 지정고시-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등 8건
    서울시유형문화재 제385 ~ 392호
  • 2016년 5월 16일
    ~12월 7일 준공
    명부전(보호각) 해제 보수공사
  • 2015년 3월
    명부전-보물 제1822호 목조지장보살 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지정
  • 2014년 10월
    유물전시관 공사
  • 2014년 9월 24일
    수암(손종목) 주지 임명
  • 2014년 8월
    수암(손종목) 주지 사찰관리인 임명
  • 2014년 3월 11일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5점) 보물 제1822호 지정
  • 2013년~2014년
    동종처리 및 흰개미 모니터링 사업
  • 2013년
    전통사찰 방재시스템 구축
  • 2012년 12월 1일
    숭산당 행원 대종사 추모비 조성 및 제막식
  • 2012년
    경전반(주간 : 금요일, 주말 : 토요일) 신설
  • 2011년 7월 15일
    경내지 확장 국유지 땅 불사 매입불사(642-2(692㎡)+642-7(14㎡)=706㎡)
  • 2010년 9월
    보화루, 종무소 개,보수 공사
  • 2010년 8월 11일
    수암(손종목) 주지 임명
  • 2010년 6월 2일
    수경(이병현) 주지 임명
  • 2010년 3월
    일주문입구 달마회관 철거. 동국대학교 토지사용승인.
    종비생 기숙사 백상원 신축
  • 2010년 3월
    범종각 이전, 신축 건립 불사
  • 2010년 3월
    대한불교조계종 외국인행자교육원 개원
  • 2010년
    국제선원, 외국인행자교육원 리모델링
  • 2010년
    성광당 신원(서두석)스님 회주 추대
  • 2010년
    대학원 주말반(일요일) 신설
  • 2009년 12월 4일
    숭산스님 사리탑 조성 및 사리 봉안
  • 2009년 11월 4일
    숭산스님 부도전 조성 및 부도 이운불사
  • 2009년
    대적광전 이행강제금(6억)부과 처분취소 승소
  • 2009년
    수덕사 방장 송원당 설정큰스님 조실 추대
  • 2008년
    대적광전 2층 제일선원 탱화조성
  • 2008년
    일주문입구 달마회관 이주 및 철거
  • 2008년
    경전연구반을 대학원으로 명칭변경
  • 2007년 7월
    대적광전 2층 보수 제일선원(소법당, 강의실)개설
  • 2007년
    화계불교대학 주말반(토요일), 경전연구반, 교양과정 신설
  • 2006년
    기본반, 천수경반 신설
  • 2006년 8월
    송원당 설정스님 회주 추대
  • 2006년 6월 2일
    수경(이병현)스님 주지 임명
  • 2005년 4월
    조계종 총무원장 법장스님 회주 추대
  • 2005년
    대웅전 보수(드잡이, 판벽교체, 지붕기와보수)
  • 2004년
    조실 숭산당 행원선사 입적
  • 2003년
    화계불교대학 야간반 폐쇄
  • 2003년
    대한불교조계종 신도전문교육기관령에 의거 전문교육기관으로 인가
  • 2002년 6월 2일
    성광당 신원(서두석) 주지 임명
  • 2001년 윤4월
    명부전 내부보수, 기와보수, 시왕보수, 지장보살 개금불사
  • 2000년 2월 15일
    화계사 동종 보물지정(보물 제 11-5호)
    명칭 : 사인비구 수성 동종(5) 서울화계사 동종

1900
  • 1999년
    화계불교대학 야간반(토요일) 신설
  • 1998년
    화계불교대학으로 명칭변경
  • 1998년
    일주문 건립. 대적광전 탱화, 닫집 조성
  • 1995년
    화계사 불교 교양대학 개설
  • 1994년 5월 9일
    숭산당 행원(이덕인) 주지 임명
  • 1993년 2월 1일
    성채당 담오(이동길) 주지 임명
  • 1992년
    국제선원 재 개원(대적광전 4층)
  • 1991년
    대적광전 조성
  • 1989년 2월 1일
    숭산당 행원(이덕인) 주지 임명
  • 1988년
    일주문 입구 화계사 사적지 건립
  • 1988년 7월 27일
    전통사찰 지정 등록(제 8-1호)
  • 1988년 3월
    화계사 입구 달마회관 신축
    10월 철근콘크리트 지하 1층 지상 3층 연건평 427평 준공
  • 1987년 10월 17일
    도감 최혜광 화상 화주 대웅전 전면 석계석 나한전 전면으로 이축
  • 1986년 8월
    법고보구, 운판, 목어 조성 봉안 시주 일각거사
  • 1986년 7월 8일
    덕산 종현선사 부도탑 조성 제막식 시주 
    황일심행, 이상락화
  • 1985년 12월 5일
    대웅전 서울시 문화재 지정(서울시유형문화재 제65호)
  • 1985년 1월 23일
    소림당 오륜 주지 임명
  • 1984년
    보화루에 국제선원 개설(외국인승려 방부정진)
  • 1983년 10월
    대웅전 삼존불 조성
    시주 권보리심, 이동찬거사, 문보리심외 신도, 조성 손용하 거사
  • 1982년 7월
    요사채 보화루 좌측 축대 및 계단 조성
  • 1981년 10월 21일
    진암당 수만스님 주지 임명
  • 1981년 6월
    보화루 대방 청동 관세음보살 봉안조성 손용하 거사
  • 1980년 3월 16일
    조실 덕산 종현선사 열반(세수81, 법랍55세)
  • 1978년 11월 15일
    천관 대종 조성. 시주 조봉구거사외 신도동참
  • 1975년
    삼성각 건립
  • 1974년 8월
    화재로 관음전 손실
  • 1973년 7월 13일
    대웅전 삼존불 조성
  • 1972년
    법종각 건립, 대종봉안
  • 1968년 2월
    화계사 임야 10정보(3,000평) 동국대학교연습림으로 기증
  • 1964년 7월 8일
    최기남(찬하)의 아들 무방거사의 시주로 천불오백성전 건립
  • 1963년
    주지 숭산당 행원스님 종단 총무부장 재직시 종비생제도 신설. 백상원 건립
  • 1962년 9월 28일
    숭산당 행원스님 주지 임명
  • 1961년 9월 29일
    조실 고봉 경욱선사 열반(세수72세 법랍51세)
    * 조계종단 주지 임명대장 기록 이후 *
  • 1958년
    고봉선사 조실 추대, 달마회창설, 선법회지도
  • 1958년 3월
    대한불교조계종 정화 이후 숭산행원선사 주지부임
  • 1958년
    김해담 주지 취임
  • 1950년
    전, 후 이윤근 주지 재임
  • 1944년
    전, 후 박희경 주지 재임
  • 1938년
    안진호스님에게 위촉 삼각산 화계사약지 편찬간행
  • 1937년
    주지 권종식화상 삼성암 오르는길에 바위에 관음상 조성
  • 1933년 07월
    조선어학회 이희성, 최현배 등 9인 보화루에서 기거하면서 한글맞춤법 통일안 정리 10월에 공포
  • 1926년
    주지 한찬우화상이 김종하, 오정근 시주로 대웅전 전면 계단석축과 대중방 전면석축 축조
  • 1921년
    명부전 중수, 대웅전 개금불사
  • 1918년 07월
    주지 월해화상 범운당 공덕비 건립
  • 1916년 10월
    주지 월해화상 월명당 창설. 만일회 헌답기념비 건립
  • 1910년(순종4년)
    월명화상 양양군 토천면 토지 276마지기 헌납. 만일염불회 설립
  • 1904년(고종41년)
    헌종 왕비 홍대비 유수옹 2벌 하사

1800
  • 1897년(고종34년)
    엉주 희방사 대종(숙종 9년 1683년 주조) 이윤
  • 1885년(고종22년)
    금산 화상, 산신각 중수
  • 1883년(고종20년)
    금산화상 조대비, 홍대비시주로 관음전 불량계 건립
  • 1880년(고종17년)
    보익화상, 조대비 시주로 명부전 불량답 헌공
    명부전 개금, 개채, 탱화 단청, 신건(현판 근거)
  • 1878년(고종15년)
    초암화상, 조대비의 시주를 받아 명부전 중수
  • 1877년(고종14년)
    평남 강서사에서 지장보살상과 시왕상을 모셔옴
  • 1876년(고종13년)
    초암, 관음전 중수
    상궁이 직조 수성관음보살상 봉안
  • 1875년(고종12년)
    궁궐에서 자수관음상을 모셔옴.
    화산 스님, 대웅전 후불 탱화 조성
  • 1872년(고종 9년)
    청신사 고상진이 산내암자 삼성암 창건
  • 1870년(고종 7년)
    용선과 초암, 대웅전 중수
  • 1866년(고종 3년)
    용선과 범운이 흥선대원군 시주로 삼창불전과 보화루

1600
  • 1619년
    (광해군11년)
    도월, 덕흥대원군 가문의 시주로 중창
  • 1618년
    (광해군10년)
    화재로 인해 전소

1500
  • 1522년(중종17년)
    신월 선사가 서평군의 도움으로 창건

(우) 01095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수유1동)|117, Hwagyesa-gil, Ga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대표전화 : 02-902-2663, 02-903-3361 (업무시간 : 오전8시 ~ 오후6시) Fax : 02-990-1885E-mail : hwagyesa@hanmail.net
업무별 전화번호 : 불교대학 02-997-6469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6시) 템플스테이 010-4024-4326 / 02-900-4326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5시)
불교용품점 02-997-7517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5시)

COPYRIGHT ⓒ HWAGYE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