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산 화계사

화계사의 역사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 보자 한강수야’
조선 인조 때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가던 김상헌은 언제 다시 볼지 모르는 고국을 삼각산과 한강수로 표현하며 눈물을 흘렸다.이 삼각산 한쪽 자락에 세계일화(世界一花)를 꿈꾸는 화계사(華溪寺)가 자리 잡고 있다. 일주문 바로 앞까지 주택들이 들어선 도시의 절이지만 산수가 수려하고 숲이 울창해 산사의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화계사는 고려 광종(949~975) 때 왕사(王師, 광종 19)와 국사(國師, 광종25)를 지낸 법인 탄문(法印坦文)대사가 인근의 부허동(浮虛洞)에 창건하였다. 그 후 보덕암(普德庵)을 조선 중종 17년(1522)에 신월선사(信月禪師)가 서평군(西平君) 이공(李公)과 협의하여 남쪽 화계동(華溪洞)으로 법당과 요사채를 옮겨 짓고 화계사(華溪寺)라는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화계사는‘꽃이 아름답고 시냇물이 아름답고 절이 아름다워 세 가지 아름다움이 갖추어 졌다.’하였으며,‘흰돌맑은내, 꽃향기가가득하다.’라고도하였다.

광해군 10년(1618) 9월에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도월선사(道月禪師)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가문의 시주를 받아 1619년에 중창하였다. 수백여 년이 지나 쇠락하여 보전하기 어려워진 사찰을 1866년(고종 3년)에 대덕 용선(龍船)과 범운(梵雲)스님의 발원으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시주를 받아 대방과 요사채를 중수하였다. 이에 전각 곳곳에는 흥선대원군의 친필 현판들이 남아 있다. 이후 대덕 용선(龍船)과 초암(草庵)스님이 1870년에 대웅전을 중수, 1876년에 관음전을 중창, 1878년에 시왕전(十王展)을 중수하였다. 이 무렵 조대비의 시주와 상궁들이 출입이 잦아 사람들이‘궁(宮)절’이라고 불렀다.
근대에 들어와 화계사는 해외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30여 년간 해외에서 포교활동을 해온 숭산 행원(崇山行願, 1927~2004)선사가 조실로 있으면서 스님의 가르침을 받은 많은 외국인들이 화계사를 찾아오게 되었고 1984년 국제선원을 개원하여 외국인 스님들의 수행공간을 마련하였다. 1991년에 정수스님이 복합건물인 대적광전을 건립하여 기도와 신도 교육을 위한 공간을 갖추었다. 1995년에 화계사불교대학이 설립되어 불자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불교를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2018년 3월에 국제선문화체험관이 완공되어 국제선원, 참선 및 템플스테이 체험의 공간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같은 해 12월에는 주지 수암(秀岩)스님의 원력과 신도들의 발원으로 미륵존불을 봉안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