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6) 8차 33석불 순례 - 홍성 용봉사, 비암사 > 33석불순례


참선수행과 국제포교의 중심 사찰

삼각산 화계사

참여마당

33석불순례

(9/26) 8차 33석불 순례 - 홍성 용봉사, 비암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6-10-04 18:24 조회5,331회 댓글0건

본문

 
 
(9/26)
 
부처님!
오늘 청정도량에 두 손 모은 저희들은 늘 부처님을 찬탄하고 따르며 일심으로 기도한 인연공덕으로 선망부모와 조상, 인연있는 유주무주 고혼들이 극락왕생 하옵기를 발원하옵니다.
시방삼세에 함께 계옵시며 중생의 간절한 발원에 가피로써 증명하시는 거룩하신 부처님께 지성으로 귀의 하옵나니 당신의 바른 법이 다시 이 땅에서 한 떨기 하얀 연꽃으로 피어나게 하옵소서
 

                                        홍성 용봉사 마애여래입상
 
충남 홍성군 신경리에 있는 용봉사는 백제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창건기의 가람터는 현재의 용뵹사에서 조금 올라간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  1905년 평양 조씨 가문에서 이곳에 묘를 쓰기 위하여 페사시켰다고 하며 현재의 사찰은 옛 절터에서 위치를 조금 옮겨 1906년에 새로 지은 것이라고 한다 괘불 영산회상도와 부도와 석조, 절구 등이 유물로 남아 있다.
 
용봉사에서 10분쯤 올라가면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이 나온다 .  이 마애불은 신라 말 홍성 들녘을 관장한 호조세력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이다.
 
우뚝 솟은 바위의 전면을 감실처럼 파 들어가 대형 마애불을 부조하였고 열굴 표정이 밝고 온화하며 양감 또한 좋은데 얼굴에서 상체까지의 조각이 입체적인 반면 하체의 조강은 약화되고 있다.

 










 






▽  용봉사 전경입니다.
 







▽  비암사 전경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확실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창건된 절이라고 전하고 있다.
신라 말에 도선(道詵)이 중창하였으며, 그 뒤의 뚜렷한 역사는 전하지 않고 있으나, 조선시대 후기에 편찬된 『전역지(全域誌)』에 비암사가 나오는 것으로 볼 때 그 무렵까지 존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근대에 들어와 극락전 앞뜰에 있는 높이 3m의 고려시대 삼층석탑 정상부분에서 사면군상(四面群像)이 발견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91년 대웅전을 지었으며, 1995년 극락보전을 중수하고 산신각과 요사 2동을 지었다. 1996년 범종각을 짓고 1997년 요사 1동을 지었다.
석상 중 계유명전씨아미타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三尊石像)은 국보 제106호로, 기축명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己丑銘阿彌陀如來諸佛菩薩石像)과 미륵보살반가석상은 각각 보물 제367호와 제368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극락보전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집이며, 전내에 아미타불을 안치하였고, 불상 위의 닫집과 조각물들은 그 수법이 우수하다. 이 밖에 사면군상이 발견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인 삼층석탑과 부도 3기가 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
 
화계 인터넷 기획부
이정기(보현행) 합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 01095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수유1동)|117, Hwagyesa-gil, Ga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대표전화 : 02-902-2663, 02-903-3361 (업무시간 : 오전8시 ~ 오후6시) Fax : 02-990-1885E-mail : hwagyesa@hanmail.net
업무별 전화번호 : 불교대학 02-997-6469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6시) 템플스테이 010-4024-4326 / 02-900-4326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5시)
불교용품점 02-997-7517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5시)

COPYRIGHT ⓒ HWAGYESA. ALL RIGHTS RESERVED.